과매수 (≥120)
과매도 (≤80)
최근 3년 통계적 상하한선
2025년 10월 24일 17:30 업데이트
코스피 ADR
79.44%(+4.17)
2025년 10월 24일최근 코스피 ADR 고점 및 저점
고점
| 날짜 | ADR % |
|---|---|
| 2025년 6월 24일 | 132.37% |
| 2025년 5월 8일 | 144.19% |
| 2025년 1월 9일 | 122.33% |
| 2024년 10월 14일 | 110.86% |
| 2024년 9월 3일 | 121.14% |
| 2024년 5월 17일 | 123.56% |
| 2024년 2월 19일 | 121.05% |
| 2023년 11월 24일 | 133.61% |
| 2023년 11월 6일 | 105.12% |
| 2023년 9월 15일 | 100.83% |
저점
| 날짜 | ADR % |
|---|---|
| 2025년 8월 19일 | 73.20% |
| 2025년 8월 1일 | 77.33% |
| 2025년 4월 9일 | 69.31% |
| 2024년 12월 27일 | 82.07% |
| 2024년 11월 13일 | 65.98% |
| 2024년 10월 30일 | 73.32% |
| 2024년 8월 5일 | 73.39% |
| 2024년 4월 19일 | 67.48% |
| 2024년 3월 19일 | 69.24% |
| 2024년 1월 22일 | 69.61% |
코스닥 ADR
72.32%(+1.03)
2025년 10월 24일최근 코스닥 ADR 고점 및 저점
고점
| 날짜 | ADR % |
|---|---|
| 2025년 6월 24일 | 111.63% |
| 2025년 5월 8일 | 128.17% |
| 2025년 1월 9일 | 131.38% |
| 2024년 10월 14일 | 101.40% |
| 2024년 8월 20일 | 106.66% |
| 2024년 5월 17일 | 109.69% |
| 2024년 2월 16일 | 99.14% |
| 2024년 1월 9일 | 109.58% |
| 2023년 11월 24일 | 119.74% |
| 2023년 8월 24일 | 103.08% |
저점
| 날짜 | ADR % |
|---|---|
| 2025년 8월 20일 | 74.04% |
| 2025년 8월 1일 | 74.71% |
| 2025년 3월 31일 | 67.54% |
| 2025년 3월 24일 | 72.35% |
| 2024년 12월 9일 | 61.56% |
| 2024년 9월 10일 | 64.74% |
| 2024년 8월 5일 | 65.86% |
| 2024년 4월 16일 | 66.26% |
| 2024년 3월 19일 | 68.45% |
| 2024년 2월 6일 | 70.97% |
ADR 지표 완전 가이드
📊 ADR(Advance Decline Ratio, 상승하락비율) 지표란?
ADR은 특정 기간 동안 상승한 종목 수와 하락한 종목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시장 지표입니다.
계산공식: ADR = (상승종목수 ÷ 하락종목수) × 100
예) 상승종목 120개, 하락종목 80개 → ADR = (120 ÷ 80) × 100 = 150%
💡 ADR 지표의 의미
시장 강세 신호
- • ADR > 100: 상승종목 > 하락종목, 시장 참여도가 높고 매수심리 우세
- • ADR ≥ 120: 강한 상승세, 과매수 구간
- • ADR ≥ 130: 극도의 과열 상태
시장 약세 신호
- • ADR < 100: 하락종목 > 상승종목, 시장 심리 위축, 매도압력 증가
- • ADR ≤ 80: 강한 하락세, 과매도 구간
🎯 실전 매매 활용 전략
과매수 구간 대응 (ADR ≥ 120)
- • 수익실현: 보유종목 일부 매도를 통한 수익확정
- • 신규매수 자제: 고점에서의 무리한 추격매수 피하기
- • 하락 대비: 방어주나 현금 비중 증가
- • 보조지표 확인: RSI > 70과 동반 시 과매수 신호 강화
- • 역추세 준비: 조정 시 매수할 우량주 리스트 작성
과매도 구간 대응 (ADR ≤ 80)
- • 분할매수: 우량주 중심의 단계적 매수
- • 저점매수: 펀더멘털 우수 종목의 가치투자 기회
- • 보조지표 확인: VIX 급등과 동반 시 공포심리 강화 신호
- • 리밸런싱: 포트폴리오 재조정 적기
- • 장기투자: 시장 회복기 대비한 포지션 구축
🔗 함께 활용하면 좋은 지표
VIX(변동성지수)
ADR과 반대 움직임, 시장 공포도 측정
이동평균선
ADR 추세 확인 및 매매 타이밍 포착
RSI
과매수/과매도 구간에서 ADR과 상호보완
MACD
ADR의 모멘텀 변화 신호 확인
거래량
ADR 신호의 신뢰도 검증
외국인 및 기관의 동향
ADR 변화의 배경 분석
📈 최근 3년 통계적 상하한선의 의미
통계적 상하한선이란?
최근 3년간 ADR 데이터의 정규분포 가정 하에 계산된 95% 신뢰구간입니다. 즉, 이 구간을 벗어난 구간은 극단적으로 드문 상황을 의미합니다.
• 상한선: 평균 + 1.645 × 표준편차 (상위 5% 지점)
• 하한선: 평균 - 1.645 × 표준편차 (하위 5% 지점)
• 하한선: 평균 - 1.645 × 표준편차 (하위 5% 지점)
예시: 최근 3년 ADR 평균이 105, 표준편차 15라면 → 상한선: 129.7, 하한선: 80.3 (이 범위를 벗어나면 통계적으로 극히 드문 상황)
3년 기간 선택 이유
- • 최신 시장 환경 반영: 금리, 경기사이클, 정책변화 등 현재 상황과 유사
- • 충분한 데이터: 약 750거래일로 통계적 유의성 확보
- • 노이즈 제거: 과거 극단적 상황의 과도한 영향 배제
- • 실용성: 투자자들이 체감하는 '정상범위' 기준 제시
활용 방법
- • 상한선 돌파: 통계적으로 극히 드문 과열상태, 조정 위험 증가
- • 하한선 이탈: 극도의 침체상태, 반등 가능성 높아짐
- • 정상범위 이탈 시: 일반적인 과매수(≥120)/과매도(≤80) 기준보다 더 강한 신호
- • 범위 복귀: 시장 정상화 신호로 해석
⚠️ 투자 시 주의사항
- • ADR은 단기 시장 심리를 반영하는 보조지표로, 단독 판단은 위험합니다.
- • ADR 지표는 개별 종목보다는 시장 전체 흐름 파악에 더 유용합니다.
- • 장기 추세 전환 신호로는 한계가 있으며, 거시경제와 기업실적 등과 함께 봐야 합니다.
- • 극값에서도 추가 상승 또는 하락이 가능하므로, 손실한도 설정 필수입니다.
- • ADR 극단값 발생 시 거래대금과 업종별 분포 등도 함께 확인하세요.
- • 분할매수/매도를 통한 리스크 분산을 권장합니다.